[독서노트] 후안 룰포 『빼드로 빠라모』


Juan Perez Rulfo(1917~1986)


인간이 간직한 영원의 신비, 꿈. 제아무리 현실과 닮은 꿈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어딘가 뒤틀려있다. 사실 꿈에는 ‘목적’이 결여되어 있다. 그것은 정밀한 현실의 모사를 추구하지도, 현실 너머의 어떤 이상을 모색하지도 않는다. 꿈은 무한한 상징과 은유, 알레고리의 결합일 수도 있고 그저 무의미한 환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맥락 없이 피어오르는 이런 신기루는 사람을 홀리는 신비한 힘이 있어서, 꿈에 빠져들면 눈을 찌르는 아침의 햇살에도 아랑곳 않고 침대 위에서 몸을 움츠린 채 그 맥락도 없는 이야기, 결말이 없이 무한히 표류하는 꿈의 자락을 붙잡고서 헤어 나오지 못 하는 것이다.



라틴 문학은 어쩐지 ‘꿈’과 비슷하다. 꿈이 아니라면, 확정된 시간과 공간을 점하는 ‘위계’가 뒤섞일 수 없다. 소설은 현실을 반영한 허구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이미 가상의 한 층위를 형성하지만, 아무리 환상적인 이야기라 하더라도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념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 한 시간은 인과적 순서에 따라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고(원인 이전에 결과가 먼저 일어나지 않는다), 자아는 하나의 차원(次元)에 속해있다. 주인공은 깨어있거나, 꿈을 꾸고 있거나, 천국에 있거나 혹은 분열된 자아끼리의 다툼 중에 있다. 꿈에서는 이런 원칙이 무시된다. 다른 시간 속의 여러 공간이 중첩되며, 하나의 자아는 여러 세계에 동시에 존재하기도 하고 혹은 완전히 부재하기도 한다. 라틴 문학은 마치 논리적 인식 구조에 심각한 오류를 초래하는 이러한 꿈의 세계를 의도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 같다. 우리는 꿈을 꿀 때와 마찬가지로 그 소설 안에서 모든 기호들을 해석할 수도 있고, 완전히 의미 없는 것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성공적으로 쓰인 소설들은 꿈이 갖는 것과 같은 신비로운 매력, 즉 아침을 거부하고 꿈속으로 더 깊이 빠져들게끔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M_줄거리|less..|

『꼬말라에 왔다. 이곳은 내 어머니의 남편 빼드로 빠라모라는 사람이 살고 있다는 마을이다.』 아버지를 찾아서 어머니의 고향 마을로 내려온 아들의 1인칭 시점에서, 이 소설은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불가사의한 마을에서 새로운 인물들과 조우하면서, ‘시점’은 점차 모호해진다. 아들은 곧 마을 사람으로부터 아버지가 죽었음을 전해 듣지만, 정작 자신이 죽었음은 뒤늦게 깨닫는다. 유령이 된 쁘레시아도(아들의 이름)는 폐허가 되어버린 꼬말라에서 떠돌고 있는 다른 많은 영혼들과 조우한다. 그들 중에는 아버지 빼드로 빠라모나 어머니인 돌로레스, 그리고 쁘레시아도와 깊이 관련된 인물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소설의 서사적인 구조를 고려할 때 ‘의미가 없는’) 인물들도 있다. 영혼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과거의 사건들을 복원시키는 ‘옛날이야기’인 경우도 있지만, 전혀 맥락에 어울리지 않는 독립된 에피소드인 경우도 있다. 한편 이 소설의 주축이 되는 이야기는, 빼드로 빠라모와 그가 소유한 광대한 토지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러나 서사적인 구조는 흐트러져서 사건들은 시간의 순서와 관계없이 뒤죽박죽 뒤섞여 제시된다. 심지어 어떤 사건들은 선과 후를 도저히 파악할 수 없거나, 하나의 시간과 공간을 갖는 위계 속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없는 사건들이 제시되기도 한다. 가령 빼드로 빠라모의 어머니가 「네 아버지를 죽였단다.」라고 말하자, 빼드로 빠라모는 이렇게 되묻는다. 「어머니, 어머니를 죽였던 그 사람을요?」



우리가 산산이 부서진 파편들을 모아 재건해 볼 수 있는 이야기는 대충 이렇다. 빼드로 빠라모는 어려서 이미 부모를 모두 잃었다. 아버지는 대농장을 소유한 토호(土豪)이긴 했으나, 빼드로 빠라모에게는 엄청난 빚더미만을 물려주었다. 그러나 비열하고 영악한 빼드로 빠라모는 대담한 결단과 악랄한 수단들을 동원해(가령 채권자에게 청혼을 하거나 폭력 조직을 동원하거나 법률상의 허점을 이용하는 등) 위기를 모면하고 오히려 더 소유지를 넓히고 더 큰 부를 소유한다. 빼드로 빠라모는 사실상 꼬말라의 지배자였다. 그의 망나니 아들(수많은 아들들 중 하나, 그러나 빼드로 빠라모와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유일한 아들)은 마을 여자들을 겁탈하거나 살인을 저지르고 다니지만, 빼드로 빠라모는 그것을 개의치 않고 사건들을 무마시켜준다. 그러나 아들은 어느 날 밤 미친 듯이 말을 몰고 달려 나가다가 낙마하여 죽었다. 살인자이며 자신의 조카를 겁탈했다며 그를 위해 죄 사함을 신께 기도드릴 수 없다는 신부 앞에, 빼드로 빠라모는 돈을 꺼내놓는다. 사실 그 아이는, 사생아를 낳자마자 어머니가 죽자 신부자 직접 안고 빼드로 빠라모를 찾아가 맡긴 아이였다. 소설의 후반부를 구성하는 것은 빼드로 빠라모와 그의 마지막 부인 수사나의 이야기다. 수사나가 마을로 돌아오던 날 빼드로 빠라모는 속으로 생각한다.



「수사나, 당신이 돌아올 날을 기다렸소. 삼십 년 동안, 나는 모든 것을 갖게 되는 그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고. 단순한 어떤 것이 아니라 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구할 때까지. 그리하여 그 어떤 욕망도 끼어들지 못 하도록, 오로지 당신을 향한 욕망 외엔 그 어던 것도 머물지 못 하도록……. 나는 당신을 찾았소(…) 나는 답답한 하늘이 확 트이는 기분이었소. 당장 당신에게 달려가고 싶었고, 당신을 기쁘게 만들어주고 싶었소. 나는 울고 싶었소. 실컷 울었소. 수사나, 언젠가 당신이 돌아오리라는 것을, 나는 알고 있었소.」



수사나는 미쳐있었다. 그는 실재하지 않는(이것 역시 상당히 모호하다) 남편에 대한 환상을 품고 끊임없이 그를 그리워하며 이해할 수 없는 독백을 거듭한다.



『그날 밤 그녀의 몸부림은 계속되고 있었다. 그런데 그 많은 일들을 기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대체 그 기억이 과거에 들었을 부드러운 음악이나 단순한 죽음 같은 그런 기억이 아닌 까닭은 무엇일까?』



『「후스띠나! 제발 다른 곳에 가서 울 수 없어!」 순간 그녀는 자신의 머리가 눈앞으로 꺾이는 기분이 들었다. 눈이 튀어나오고 숨이 끊어지는 듯한 느낌과 동시에 자신의 머리가 복부로 처박히고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머리를 끌어올리려 안간힘을 썼지만, 그럴수록 자신의 머리는 더 깊은 곳으로 파고들고 있었다. 마치 밤의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가듯이.』



수사는 죽었다. 성당의 종소리는 사흘 동안 계속되었고, 조문객과 구경꾼들이 모여들어 꼬말라의 모든 사람들, 이윽고는 마을 밖의 사람들까지 모두 모여 한바탕 난장판이 되었다.



『「두고 봐. 나는 팔짱을 낀 채 굶어서 죽어가는 꼬말라를 지켜보리라.」 빼드로 빠라는 그렇게 만들었다.』



소설은 빼드로 빠라모의 죽음을 암시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그는 꼬말라의 모든 지기(地氣)를 흡수하고 서서히 허물어진다. 비탄과 절망에 빠진 황무지 꼬말라는 유령의 도시가 되고, 유령들로 가득찬 밤의 세계를 두려워하며, 빼드로 빠라모는 거대한 돌무더기처럼 쓰러지고 말았다.

_M#]



나는 이 소설의 꿈을 모사한 듯한 속성, 다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혹은 그렇게 이해할 것을 요구하는) 구조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다른 시각으로 해석할 여지도 충분하다는 것을 언급 해 둔다. 이를테면 이 소설은 하나의 혁명 소설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일한 생산 수단인 토지를 독점하는 토호(土豪)와 민중들의 갈등, 저항, 그리고 혁명에 대한 이야기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과연 이 소설의 내용이 혁명을 지지하고 있는 것인지, 혹은 혁명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는 역시 ‘모호’하다. 이것에 대한 판단은 독자 개개인의 몫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