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Filed under 음악/공연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 한화와 함께하는 가족음악축제

오래되어서 이미 리뷰를 쓰는 의미는 퇴색되어버렸지만, 일단 기록으로 남겨둔다는 의미에서 쓴다.

8월. 덥거나 비 내리거나. 아니 숨 막힐 듯 더우면서 항상 비는 내리고 있었다. 새해 벽두를 강타한 전국 대폭설부터 시작해서 유난히 기상 변덕이 심한 올해. 지긋지긋한 장맛비와 뜨거운 공기에 만물이 힘겨운 여름나기를 하고 있을 무렵, 나는 아침 6시에 출근해서 밤 10시 가까워서야 퇴근을 하는 버거운 교육 스케줄을 감당하고 있었다.

이 지칠 뿐인 8월, 위안거리가 되어준 것이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한 가족음악축제. 8월 한 달 동안 매주 주말마다 오케스트라 공연 하나씩을 무대에 올렸는데, 전석 1만 5천원으로 가격이 매우 저렴했다. 주중에는 수면도 제대로 못 취할 정도로 격무에 시달렸지만, 주말이면 모든 것을 잊고 연주회장을 찾아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을 가졌다.

물론 연주회의 모든 것이 마음에 들었던 것은 아니다. 방송인 유정아라는 사람이 서곡 연주가 끝나면 등장해서 당일 프로그램에 대해 약간의 해설을 했는데, 프로그램 북에 적혀있는 내용 이상의 것을 언급한 게 거의 없다. 그럴 거라면 굳이 이 사람을 등장시켜야 할 이유가 뭐란 말인가. 그리고 해설 중에는 무대 뒤편에 빔 프로젝터로 화면을 띄워놓았는데, 작곡가 생몰 연대 등이 엉망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가령 베토벤의 사망 시기를 1820년으로 적어 놓는다든가, 베버의 경우에는 전혀 엉뚱한 연대를 적어 놓기도 했다(아마 막스 브루흐와 혼동을 한 것 같았는데). 연주와는 무관하지만 이런 실수 하나하나가 전반적인 연주회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연주 시작 전, 해당 곡의 작곡가 생몰 연대부터 틀려버리는데, 대체 관객에게 어떤 진지한 감상의 자세를 요구할 수 있단 말인가?

1. 8월 8일 충남교향악단

지휘/구모영 바이올린/유시연

모차르트-오페라 <코지 판 투테> 서곡

브루흐-바이올린 협주곡 1번

베토벤-교향곡 8번

지휘자 구모영. 내가 유포니아에서 첫 연주회를 섰을 때 지휘를 맡아주었던 분이다. 시종 진지하고, 연습 중에는 웃음기가 거의 없었다. 일본 오케스트라에 있을 때 그 숨 막힐 정도로 긴장감 넘치는 연습 분위기에 익숙해져 있던 터라 당시 나는 이상하게 여기지도 않았지만,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로서는 훨씬 부드럽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연습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중에 깨닫고 보니, 이 지휘자 선생님이 그리 재밌는 사람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진지한 만큼 꼼꼼했다. 전체 연습이 없는 날에도 일부러 학교로 찾아와 파트 연습을 지도해 주는 등, 그 성실함이 돋보였다.

연주회는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 서곡으로 발랄하게 문을 열었다. 지난 5월 훈련 중 특별외박 나와 본 연주회 이후 약 석 달 만의 연주회라, 단지 오케스트라의 연주 모습을 보고 있는 자체만으로 황홀했다.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나중에 ‘딱 한 곡만 유명한 작곡가’란 주제로 글이라도 써 보면 어떨까 싶은데, 실현된다면 브루흐를 그 안에 넣어야 할지 말지 고민된다. 사실 브루흐라면 스코틀랜드 환상곡이나 콜 니드라이 같은 유명한 곡들이 있지만, 널리 알려지고 연주되는 그의 대표작이라면 이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꼽을 수밖에 없다. 스코틀랜드 환상곡은 3악장만의 선율만이 너무 유명하고, 콜 니드라이는 아무래도 대중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고 하기에는 지명도가 약하다. 그러나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만큼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의 단골 레퍼토리로 상당히 자주 연주되는 만큼, 바이올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곧 접하게 되는 음악이다.

1악장은 상당히 장중하면서도 바이올린의 매우 서정적인 선율이 돋보이는 구성이다.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예견케 하는 다소 민요적인 느낌의 선율이 간간히 들려오는 아름다운 2악장. 그리고 절로 어깨들 들썩이게 만드는 신나는 3악장. 이제 와서 연주가 어땠는지 논하는 게 의미가 없겠지만, 약간 거친 면은 있어도 흡족한 연주로 기억한다.

이 날의 메인 곡은 베토벤 8번이었다. 6번과 같은 F major로 작곡된 곡. 6번에 비해 길이가 짧다는 의미인지, 베토벤은 친히 “My little Symphony in F”라고 언급한 바 있다. 모차르트 풍의 익살스럽고 장난스러운, 한 마디로 유쾌한 음악의 베토벤 판이라고나 할까, 심각하지 않고 흥겨우면서 베토벤다운 강렬한 리듬과 힘이 깃들어있는 음악이다. 비록 나의 플레이리스트는 5번, 6번, 7번 다음 9번으로 이어지고 말지만…….

앙코르 곡은 따로 준비되지 않았다. 대신 8번의 4악장 일부를 다시 연주했는데, 다시 들려줘도 좋을 만큼 준비가 잘 됐다는 뜻일까. 구모영의 지휘는 상당히 깔끔했고, 오케스트라를 지배하는 분위기가 느껴졌다.

2. 8월 14일 수원시립교향악단

지휘/최수열 피아노/박수진

베버-오베론 서곡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4번

시벨리우스-교향곡 2번

가족음악축제가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음악 연주로 클래식에 대한 흥미 유발”을 기치로 내걸고 있었는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이나 시벨리우스 교향곡 2번이 명곡임에는 틀림없지만 과연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음악일까?

연주회에 집중하기에는 나는 격무로 너무 지쳐있었고, 수면 부족으로 인해 정신이 멍한 상태였다. 결국 연주회에서 졸아버리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는데, 오베론 서곡부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까지는 거의 제대로 듣지를 못 했다. 시벨리우스 교향곡도 집중해서 듣다가 간간히 정신이 다른 차원의 세계를 탐험하고 돌아오는 것을 느껴야 했다. 연주회장의 분위기도 안 좋았다. 본격적인 여름방학 시즌이라 예술의 전당에는 주차할 공간조차 부족했고, 연주회장 안에는 초등학생들이 넘쳐났다. 세상을 온통 자기중심적으로 밖에는 바라볼 줄 모르는 어린 녀석들. 연주회장에서 버젓이 휴대전화를 꺼내놓고 만지작거린다. 그 불빛은 정말 거슬린다. 휴대전화를 가지고 놓는 것이 싫증이 나면 연주를 조금 듣는 척하다 이내 잠들어버린다. 자는 것에 관한 한, 이날만큼은 나도 별로 할 말이 없었지만…….

그래도 시벨리우스 교향곡 2번 4악장이 연주될 때만큼은, 이 하나로 초점이 모아지지 않던 부사한 객석에도 순간 통일된 평화의 순간이 찾아오고, 모든 사람들은 하나의 위대한 예술 작품이 지적 감수성의 수준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평등하게 뿌리는 그 감동을 받아들였다. 물론 그 놀라운 집중의 시간은 아주 잠시 뿐이었지만.

3. 8월 22일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지휘/이종진 첼로/홍성은

코다이-갈란타 무곡

드보르작-첼로 협주곡

라흐마니노프-심포닉 댄스

코다이의 갈란타 무곡은 나도 처음 들어보는 곡이었다. 코다이라는 작곡가 자체가 일반에는 생소한데, 좀 규모가 있는 음반 가게를 가더라도 코다의 녹음으로는 무반주 첼로 소나타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바르톡과 함께 헝가리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지만, 사실 작곡가로서보다는 음악 교육자로서 더 유명했고, 많은 역할을 수행했다.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 따로 설명이 필요 없는, 역사상 모든 첼로 협주곡들 중 단연 으뜸으로 손꼽히는 곡. 그러나 연주는 딱히 인상적이지 않았다.

라흐마니노프. 생각해보면 그는 상당한 대작곡가였다. 장기인 피아노 협주곡 분야에서 걸작 2번과 3번을 비롯하여 네 개의 작품을 남기고 있고, 교향곡도 세 곡이나 썼다. 심포닉 댄스는 교향곡 3번 이후에 작곡된, 그의 마지막 교향악이다.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에서 영향 받아 독특한 리듬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그래도 결국 라흐마니노프는 낭만주의의 틀에서 벗어나지는 못 한 것 같다. 뭔가 쿵쾅거리다가도 항상 음악 같은 음악으로 돌아오고 만다. 그게 라흐마니노프다운 것이지만.

편성에 알토 색소폰이 있어서, 오케스트라 무대에서 색소폰이 연주되는 색다른 모습도 구경할 수 있다.

이상 음악축제 기간에 열린 여섯 번의 공연 중 세 번의 공연을 관람했다. 저렴한 가격에, 기분 전환하기에는 적절한 기회였다.

2010/09/19 00:06 2010/09/19 00:06